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달러 환전 수수료 무료 은행 (카카오뱅크 달러박스 추천, 외화통장 개설 방법 및 우대 혜택)

by 뉴스10 2024. 6. 27.

 

최근에 카카오뱅크에서 달러 환전 수수료가 무료인 달러박스(외화통장)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달러투자 하시거나 여행을 목적으로 달러 환전하시려는 분에게 화제가 되고 있는 만큼, 직접 사용해 본 카카오뱅크 달러박스 이용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달러-환전-수수료-무료
달러-환전-수수료-무료

 

 

 

1) 모바일 환전지갑, 카카오 달러박스 개설 방법

 

달러박스는 일종의 달러를 보유할 수 있는 일종의 지갑으로 불리우는데 이것은 달러통장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카카오뱅크 입출금 계좌를 가진 만 19세 이상 고객이라면 누구나 만들 수 있다고 하며 1인당 1개의 통장만 보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카카오뱅크-외화통장
카카오뱅크-외화통장

 

 

무엇보다 파격적인 것은 달러를 모바일로도 입출금 할수 있지만 수수료가 무료라는 점입니다. 심지어 ATM기기로 출금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신한은행 일부지점과 제휴)

 

 

2) 달러 환전 수수료 무료, ATM 수수료도 무료

 

카카오뱅크가 밝히기를, 전국 총 5곳의 신한은행에서 외화 ATM기기를 통해 회당 최소 100달러부터, 하루 최대 600달러까지 인출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카카오톡 메시지 창으로 달러 선물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자녀나 조카들 용돈 줄 때 달러로 주는 것도 이제 가능해졌습니다.

 

 

카카오뱅크-달러박스
카카오뱅크-달러박스

 

 

요즘 달러 환율이 계속 오르면서 달러 투자법에 관심도 많아졌는데요. 이제는 카카오뱅크 달러박스 통해서 1만 달러 한도 내에서(보유한도 1만 달러, 약 1300만원) 자유롭게 달러 투자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아래는 제가 직접 경험해 본 카카오뱅크 달러박스 가입 방법 및 외화 통장 개설 과정입니다.

 

 

3) 카카오뱅크 달러박스, 외화통장 개설 방법

 

 

 

먼저, 카카오뱅크 앱을 접속합니다.

그리고 아래 이미지대로 그대로 따라하시면 2분 내로 금방 외화통장이 개설됩니다.

 

 

카카오뱅크-달러박스-후기
카카오뱅크-달러박스-후기
카카오뱅크-외화계좌
카카오뱅크-외화계좌

 

카카오뱅크-트래블월렛
카카오뱅크-트래블월렛
달러박스-장단점
달러박스-장단점

 

달러박스-개설-후기
달러박스-개설-후기

 

 

위와 같은 과정을 밟으면 카뱅 달러박스 외화통장은 개설이 완료됩니다. 아래는 달러박스 외화통장 개설 관련한 자주 묻는 질문입니다. 

 

 

# 달러박스 자주 묻는 질문

 

 

 

카뱅 달러박스 또다른 장점으로는 요즘 해외여행 갈 때 많이 쓰는 트래블월렛과 제휴도 가능해서 환전 및 해외 결제가 자유롭게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다른 나라의 외화끼리도 환전 수수료가 무료라고 합니다. 

 

 

1금융권 은행들에서도(신한은행 ,KB은행, 우리은행 등) 외화통장 개설할 수는 있지만, 1금융권 외화통장은 달러를 입출금 할 때 적지 않은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달러 환전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카카오뱅크 달러박스로 외화통장 개설하셔서 입출금을 자유롭게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아래 글에도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여러 글이 있으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

 

정부지원금 대상자 조회, 보조금24 이용방법 (2분이면 신청!)

대한민국에는 생각보다 정부 지원금 종류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부 지원금 대상자 조회 가능한 보조금24 이용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사람들이 관심을 안갖어서 그렇지 청년부터

fourwolrdinfo.tistory.com

 

잠자는 내돈 찾기, 휴면계좌 조회 방법 (1분이면 해결!)

휴면계좌 조회를 통해 숨은 돈 찾기 서비스가 화제가 되고 있다고 최근 뉴스에서 보도 되었는데요. 뉴스 보도에 의하면 고객이 안찾아간 휴면 금융 재산 규모가 무려 약 7조원 가량이 된다고 합

fourwolrdinfo.tistory.com

 

 

 

 

 

댓글